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는 1866년 폴란드 헤움에서 태어난 우크라이나의 역사가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키이우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10권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루스의 역사》를 집필했다. 1897년부터 1913년까지 셰우첸코 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17년에는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 의장을 맡아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을 이끌었다. 1919년 망명 후 1924년 귀국하여 우크라이나 학사원 회원으로 활동했으나, 1931년 추방당하고 1934년 사망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연속성을 강조하며, 우크라이나 민족의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연구했다. 그의 저서는 우크라이나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50 흐리우냐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사용되고, 키이우와 리비우에 기념비가 세워지는 등 우크라이나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편집자 - 이반 프란코
이반 프란코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우크라이나의 작가이자 시인, 언어학자, 정치 운동가로서, 오스트리아 제국 갈리치아 지역 출신으로 사회주의 및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우크라이나 문화 진흥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우크라이나 민족의 정체성과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담고 있다. - 루블린주 출신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헨리크 시엔키에비치는 폴란드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역사소설 삼부작과 《쿠오 바디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190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폴란드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루블린주 출신 - 말비나 코프론
말비나 코프론은 해머던지기 선수로, 201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20년 도쿄 올림픽 동메달 등을 획득했다.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
로마자 표기 | Mykhailo Serhiiovych Hrushevskyi |
출생일 | 1866년 9월 17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홀름 |
사망일 | 1934년 11월 24일 |
사망지 | 러시아 SFSR 키슬로보츠크 |
국적 | 우크라이나 |
배우자 | 마리아-이반나 흐루셰우스카 |
자녀 | 카테리나 흐루셰우스카 |
직책 | |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 의장 | 시작: 1917년 3월 28일 (구 1917년 3월 15일) 종료: 1918년 4월 29일 전임: 볼로디미르 파블로비치 나우멘코 (대행) 후임: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 (헤트만) |
셴첸코 과학 협회 회장 | 시작: 1897년 종료: 1913년 전임: 올렉산드르 바르빈스키 후임: 스테판 토마시우스키 |
학문 | |
학위 | 역사학 석사 |
논문 | 바르 스타로스타. 역사적 개요. |
대표작 | 우크라이나-루시사 |
모교 | 성 볼로디미르 대학교, 키이우 |
직업 | 학자, 역사가 |
정치 | |
소속 정당 |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
기타 정보 | |
![]() |
2. 생애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는 1866년 러시아 제국 폴란드 헤움(홀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세르히 페도로비치는 교육자이자 어학자였고, 어머니는 흐루셰우스키에게 러시아어 문법을 가르쳤다.[15] 키예프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후, 10권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루스의 역사》를 집필했다. 그 외에도 《우크라이나 문학의 역사》, 《우크라이나인의 역사에 대한 개요》, 《삽화로 보는 우크라이나의 역사》 등을 저술했다.
1894년부터 리비우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타라스 셰우첸코 기념 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리비우 시기 (1894-1913) 참조) 1907년에는 키예프에서 우크라이나 과학회를 설립했다.
1917년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의회인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 의장을 역임했다.(러시아 혁명과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 (1905-1919) 참조) 러시아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 빈으로 망명했다가 1920년대에 우크라이나로 귀환했다.
1923년부터 전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했지만, 1931년 모스크바에서 추방당했고, 1934년 키슬로보츠크에서 사망했다.(망명과 귀국 (1919-1934) 참조)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866년 9월 29일(9월 17일) 러시아 제국 콩그레스 폴란드 호움(현재 폴란드 헤움)에서 교육자이자 슬라브 연구자인 아버지 Грушевський Сергій Федорович|세르히 흐루셰우스키uk와 성직자 가문 출신 어머니 Глафіра Захарівна Опокова|흘라피라 자하리우나 오포츠케비치uk 사이에서 태어났다.[15] 아버지는 학교 교사로 슬라브 연구에 종사했고, 어머니는 흐루셰우스키에게 러시아어 문법을 가르쳤다.[15]어린 시절은 러시아령 카프카스 지방의 스타브로폴시와 블라디카프카스시에서 보냈다. 1880년 트빌리시 제1중학교에 입학하여 6년간 그루지야에 머물렀다. 1886년 우크라이나로 돌아와 키예프 대학교 역사·언어학부에 입학하여 동유럽의 중세사를 배우기 시작했다. 학생 시절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의 문화·계몽 조직 "흐로마다"에서 활동했다.
1890년 키예프 지방 역사에 관한 우수한 졸업 논문을 발표하고, Володимир Боніфатійович Антонович|볼로디미르 안토노비치uk 교수의 추천으로 키예프 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 진학했다. 1894년 '바르 대관구 개요'라는 석사 논문을 제출하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리비우 시기 (1894-1913)
1894년 키예프 대학교의 교수의 추천으로 오스트리아 제국 리비우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교수로 임명되었다.1898년부터 1913년까지 리비우에 머물면서 우크라이나인 연구 조직인 의 회장을 맡아 해당 학회를 유럽의 학사원과 같은 연구 시설로 재편성하고, 학회의 고문서관, 도서관, 박물관을 설립했다. 또한 1895년부터 1913년까지 '타라스 셰우첸코 기념 학회지'의 주필을 겸임했다.
흐루셰우스키는 리비우에서 우크라이나 역사 연구 학파를 설립하여 , , , , 바실리 헤라시미추크, 등 우크라이나 역사학자를 길러냈다. 게다가 1898년에 '우크라이나-루스의 역사uk' 제1권을 저술했으며, 1937년까지 리비우와 키예프에서 12권을 출판했다.

1899년에는 을 결성하여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의 정치·문화 활동에 참여했다.
2. 3. 러시아 혁명과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 (1905-1919)
1899년에는 우크라이나 국민 민주당을 결성하여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의 정치·문화 활동에 참여했다. 1905년 2월 러시아 혁명 이후 드니프로 우크라이나로 이주했다. 1907년에는 키예프에 우크라이나 연구회를 설치하고 회장이 되었다. 더 나아가 정치 활동을 이어가며 우크라이나인들의 여러 정당과 정치 단체를 융합한 우크라이나 진보자 협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동안 '달리는 파도'(1906년), '러시아의 해방과 우크라이나 문제'(1907년), '우리의 정책'(1911년), '자유 우크라이나'(1917년) 등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에 대한 여러 논문을 저술하며 우크라이나인의 독자성과 우크라이나의 자치권의 필요성을 주장했다.[15]
1914년 11월, 키예프로 돌아왔으나 러시아 경찰에 체포되어 '오스트리아 옹호' 죄로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 하지만 러시아 학사원의 요구로 심비르스크로 이동, 이후 카잔과 모스크바로 이송되었다.[15]
1917년 3월 14일 다시 키예프로 돌아와 우크라이나 자치 의회이자 정부인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처음에는 러시아의 연방화와 러시아 연방 내 우크라이나 자치구의 존재를 주장하며 우크라이나 독립을 요구하는 정치 단체를 배제했다. 그러나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볼셰비키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자 흐루셰우스키는 입장을 바꿔 스스로 우크라이나 독립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1918년에는 독일·오스트리아 동맹국의 군사력으로 볼셰비키로부터 우크라이나를 탈환했지만, 1918년 4월 29일 동맹국의 지원으로 일어난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의 쿠데타로 정계에서 물러나야 했다.[15]
흐루셰우스키는 러시아 문제와 민족 문제에 대해서는 온건했지만, 사회·경제 문제에 관해서는 당시 우크라이나에서 인기가 높았던 사회주의 사상을 실행하려 했기 때문에 독일·오스트리아 동맹국 정권에 의해 우크라이나 수장의 자리에서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15]
2. 4. 망명과 귀국 (1919-1934)
1919년 3월 흐루셰우스키는 체코슬로바키아를 거쳐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 빈에 우크라이나 사회 연구소를 설치하고, 우크라이나 사회 혁명당 기관지 '싸우면 이긴다!', '동유럽', '우리 깃발' 등의 주필을 맡았다.[5] 연구를 위해 제네바, 베를린, 파리 등지에도 거주했다.1924년 3월 7일, 소련 대표와의 오랜 협상 끝에 키예프로 돌아왔다.[5] 우크라이나 학사원 회원 및 역사·언어학부 우크라이나사과 과장을 역임하며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학사원 역사 언어학부지', '과학지', '우크라이나 고고학 총서', '우크라이나 고전 문학집', '우크라이나 연구' 등 연구 잡지 출판에 관여했다. 1929년 소련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어 모스크바로 이주했다.
1929년 소련 비밀 경찰은 흐루셰우스키에게 정치범 혐의를 씌워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센터' 소장으로 체포했다. 학술원의 조치로 곧 풀려났지만, 1931년 비밀 경찰에 의해 모스크바에서 추방되었다.[6] 그가 창립한 연구소와 연구회는 해산되었고, 동료와 제자들도 체포되었다. 이러한 압박으로 흐루셰우스키는 병을 앓았다. 1934년 11월 25일 키슬로보츠크에서 치료 중 급사했다.[7] 유해는 키예프의 Байкове кладовище|바이코베 묘지uk에 안장되었다.[6]
3. 학문적 업적
흐루셰우스키는 역사학, 문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00편 이상의 저술을 남긴 학자였다. 키이우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10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역사서인 《우크라이나-루스의 역사》(1898-1937)를 집필했다. 이 책은 우크라이나 역사를 선사 시대부터 1660년대까지 다루며, 우크라이나 민족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상세히 서술했다.[2] 이 외에도, 《우크라이나 민족 개요사》(1904), 《그림으로 보는 우크라이나사》(1911), 《우크라이나 문학사》(1923-1927)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자 노력했다.
흐루셰우스키는 학술 연구 조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갈리치아 (중앙 유럽)의 셰우첸코 학술 협회를 개편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수백 권의 학술 문헌을 출판하는 데 기여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키이우에 우크라이나 학술 협회를 설립하여 미래 과학 아카데미의 기반을 마련했다. 1917-1921년 러시아 혁명 이후 빈에서 망명 중에는 우크라이나 사회학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1920년대에 우크라이나로 돌아온 후에는 우크라이나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5]
1898년 리비우에서 열린 이반 코틀랴레프스키의 아이네이스 출판 100주년 기념행사에는 셰우첸코 학술 협회 이사회와 회원들이 참석했는데, 흐루셰우스키는 이반 프랑코, 볼로디미르 그나튜크 등과 함께 두 번째 줄에 자리했다.
그의 첫 학술 저서는 바르 (우크라이나)의 역사에 대한 ''바르스키 스타로스트보: 역사적인 연구 (15-18세기)uk''였다.[3]
흐루셰우스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바르스키 스타로스트보: 역사적인 연구 (15-18세기)uk | 1996 | 이반 크리피야케비치 우크라이나학 연구소 출판 |
우크라이나의 문화-민족 운동, 16-17세기uk | 1912 | |
자유 우크라이나: 최근 며칠간의 기사 (1917년 3월-4월)uk | 1917 | |
구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삶에서: 연구, 기사, 연설uk | 1917 | |
우크라이나 기원은 어디이며, 어디로 가는가uk | 1917 | |
그림으로 보는 우크라이나사uk | 1918 | |
세계사 개요: 고등 초등학교 및 중학교 저학년 프로그램에 적합: 4권uk | 1917–1920 | |
자서전: 원고로 인쇄uk | 1926 |
3. 1. 역사관
흐루셰우스키의 역사관은 인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사상, 동유럽 연방 사상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그의 스승이었던 Володимир Боніфатійович Антонович|V・안토노비치uk, Nikolay Kostomarov|M・코스토마로프영어, Mykhailo Drahomanov|M・드라호마노우영어도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5]흐루셰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역사를 러시아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우크라이나 민족의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 《우크라이나-루스 역사》에서 이러한 관점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 책은 우크라이나 역사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학술적 연구서로, 선사 시대부터 1660년대까지의 기간을 다루며, 우크라이나 민족을 역사의 중심에 두었다.[2]
흐루셰우스키는 스키타이에서 키예프 루스, 코사크로 이어지는 고대 우크라이나의 스텝 문화를 우크라이나 유산의 일부로 보았다. 특히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을 키예프 루스의 유일한 합법적인 후계자로 간주했는데, 이는 키예프 루스를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과 제정 러시아의 것으로 간주하는 러시아의 역사관과는 대립되는 것이었다.
또한 흐루셰우스키는 민중 중심의 역사 서술을 추구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를 지배한 다양한 외국 국가에 대한 대중 봉기를 주요 주제로 다루었으며,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기원과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반란을 민족적, 사회적 현상으로 해석했다.
흐루셰우스키의 역사관은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국가의 역할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민주주의적 신념에 따라 국가에 대한 불신을 유지했다고 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가 점차 우크라이나 국가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의 역사관은 이후 우크라이나 역사 연구의 주류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내 진보 진영에서도 그의 민족주의적 관점과 민중 중심 역사관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4. 정치 활동
흐루셰우스키는 학문 활동 외에도 우크라이나 민족 운동과 독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스트리아 갈리치나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한 그는 폴란드의 정치적 지배와 루테니아 민족주의에 반대하며,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를 통합하는 우크라이나 정체성을 지지했다.[4] 1899년에는 갈리치아를 기반으로 한 민족 민주당을 공동 창립하여 우크라이나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1905년 이후에는 러시아 제국 의회(국회)에서 우크라이나 클럽을 자문했다.
1917년 흐루셰우스키는 혁명 의회인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의 수장으로 선출되어 우크라이나를 민족 자치에서 완전한 독립으로 이끌었다. 그는 러시아 민족 회의의 의장을 맡았으며, 당시 급진적인 민주주의자이자 사회주의자였다.[4] 1918년 독일이 지원한 파블로 스코로파츠키 장군의 쿠데타 이후 은신했다. 흐루셰우스키는 스코로파츠키가 우크라이나 국가 건설을 사회 보수주의와 연관시켜 우크라이나의 대의를 왜곡했다고 생각했다. 디렉토리에 의해 스코로파츠키가 전복된 후 공직에 복귀했지만, 디렉토리를 지지하지 않아 곧 갈등을 겪었다. 1919년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주하여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혁명당으로부터 해외 대표들의 활동을 조정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5. 유산과 평가
흐루셰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20세기 가장 위대한 학자이자 저명한 정치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현재까지도 우크라이나에서 유명하다.[9][10]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에서 볼로디미르 빈니첸코와 시몬 페틀류라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빈니첸코는 너무 좌익적이었고 페틀류라는 폭력과 관련되어 있어 좋은 상징적 인물이 될 수 없었기 때문에 흐루셰우스키가 더 우상화되었다.[11]
흐루셰우스키의 초상화는 50 흐리우냐 지폐에 등장한다. 키이우와 리비우에는 그의 기념관으로 지정된 박물관과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키이우의 한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회)와 많은 정부 사무실이 있다.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는 그의 ''전집''을 50권으로 출판하고 있다.
6. 가족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는 형제 올렉산드르 흐루셰우스키와 누이 한나 샴라예바, 이렇게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15]
- 올렉산드르 흐루셰우스키 (1877–1943)는 올하 흐루셰우스카 (파르페넨코) (1876–1961)와 결혼했다.
- 한나 샴라예바는 세르히와 올하, 두 자녀를 두었다.
그의 아내 마리야-이반나 흐루셰우스카 (1868년 11월 8일 – 1948년 9월 19일)는 1917년부터 중앙 라다의 일원이었으며 우크라이나 국립 극장의 재무였다.[15]
참조
[1]
웹사이트
1917 - засідання Української Центральної Ради, яке очолив Михайло Грушевський
https://uinp.gov.ua/[...]
Ukrainian Institute of National Memory (UIMP)
2023-07-05
[2]
웹사이트
History of Ukraine-Rus' Volume 2
https://www.peterson[...]
[3]
서적
Bar Starostvo: Historical Notes: XV-XVIII
St. Volodymyr University Publishing House
1894
[4]
뉴스
Ukraine's Struggle for Self-Government
https://nyti.ms/2Lve[...]
2020-05-16
[5]
간행물
'The “Change of Signposts” in the Ukrainian emigration: Mykhailo Hrushevskyi and the Foreign Delegation of the Ukrainian Party of Socialist Revolutionaries’'
2006
[6]
웹사이트
Hrushevsky, Mykhailo
http://www.encyclope[...]
2023-02-18
[7]
서적
Unmaking Imperial Russia : Mykhailo Hrushevsky and the writing of Ukrainian history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5
[8]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Ukraine. Banknotes. 50 UAH. Portrait details.
http://www.bank.gov.[...]
2017-03
[9]
웹사이트
Famous Ukrainians of all times
http://ratinggroup.c[...]
2012-05-28
[10]
웹사이트
Top 11-100
http://greatukrainia[...]
[11]
서적
Ukraine: Birth of a Modern 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2]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